오운 종가 문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오운 종가 문적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의병장이었던 죽유(竹牖) 오운(吳澐, 1540~1617)의 종손가에 보관되어 있던 고문서와 전적들입니다. 1994년 7월 29일 보물 제120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고문서 (7종 110점)
- 분재기(分財記) 18매: 1561년(명종 16)∼1755년(영조 30) 사이의 재산과 노비 분배 기록입니다. 내용에 따라 40cm의 별급문기에서 7m가 넘는 화회문기까지 다양합니다.
- 입안(立案) 1매: 1585년(선조 18) 작성. 관에서 발급하는 문서로, 개인이 요청할 경우 어떤 사실을 확인하여 인정하는 문서입니다.
- 호적단자(戶籍單子) 21점: 호구 관련 기록입니다.
- 교지(敎旨) 85점: 오운과 후손들의 교지입니다.
- 제문(祭文) 1점: 오운이 죽은 뒤 광해군이 그의 죽음을 기리며 내린 제문입니다.
전적류 (7종 12책)
- 대학장구대전(大學章句大全) 1책: 목판본
- 동문선(東文選) 5책: 훈련도감자본
- 노주연송덕시(勞酒宴頌德詩會) 1책: 갑인자본
- 한구소시(韓歐蘇詩) 2책: 필사본
- 매촌동약(梅村洞約) 1책: 필사본
이 문적들은 오씨 문중의 재산 상태뿐만 아니라 당시 사회·경제사 연구, 가족 제도 및 신분 제도 연구에 귀중한 자료입니다. 또한 전적류는 서지학 연구, 향약, 사문학, 서예 연구에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평가받습니다. 현재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송림리 죽유종택 유물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오운 종가 문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문적 정보 | |
이름 | 오운 종가 문적 |
원어 이름 | 吳澐 宗家 文籍 |
그림 크기 | 150 |
유형 | 보물 |
지정 번호 | 1203 |
지정일 | 1994년 7월 29일 |
주소 | 경상북도 고령군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고창오씨죽유공파종중 |
수량 | 일괄(12책, 110건) |
꼬리표 | 죽유종택 |
문화재청 ID | 12,12030000,37 |
고문서 정보 | |
이름 | 오운종가고문서 |
원어 이름 | 吳澐宗家古文書 |
국가 | 경상북도 |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257 |
지정일 | 1991년 3월 25일 |
해지일 | 1994년 11월 2일 |
문화재청 ID | 21,02570000,37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